반응형
책소개
30년차 베테랑 SBS 방송기자 박대영 저자가 들려주는 삶의 치유서
굽이지고 흔들리는 인생길에서 마음근육을 키우는 법
나를 위로할 수 있는 유일한 성찰
고전과 함께한 올곧은 열정을 길 위에서 돌아본다
30년 차 SBS 방송기자 박대영이 삶의 철학을 담아 신간 『흔들릴 때마다 걸었습니다』를 펴냈다. 이 책은 굽이지고 흔들리는 인생길에서 마음근육을 키우는 법을 전해준다. 알베르 카뮈 『시시포스 신화』,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파울로 코엘료 『연금술사』 등의 지혜와 교양을 넓혀주는 고전 명작부터 김훈 『밥벌이의 지겨움』, 김혜남 『어른으로 산다는 것』, 신영복 『담론』 등 한국의 명저들이 ‘걷기의 사유’를 통해 재탄생했다. 아름다운 선율을 주고받는 각각의 악기처럼 명작 책과 걷기, 사진이 서로의 벗이 되어 멋진 하모니를 이룬다. 이 책은 우리가 더 나은 모습으로 나이 들기 위하여 인생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삶의 지침을 준다.
굽이지고 흔들리는 인생길에서 마음근육을 키우는 법
나를 위로할 수 있는 유일한 성찰
고전과 함께한 올곧은 열정을 길 위에서 돌아본다
30년 차 SBS 방송기자 박대영이 삶의 철학을 담아 신간 『흔들릴 때마다 걸었습니다』를 펴냈다. 이 책은 굽이지고 흔들리는 인생길에서 마음근육을 키우는 법을 전해준다. 알베르 카뮈 『시시포스 신화』,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파울로 코엘료 『연금술사』 등의 지혜와 교양을 넓혀주는 고전 명작부터 김훈 『밥벌이의 지겨움』, 김혜남 『어른으로 산다는 것』, 신영복 『담론』 등 한국의 명저들이 ‘걷기의 사유’를 통해 재탄생했다. 아름다운 선율을 주고받는 각각의 악기처럼 명작 책과 걷기, 사진이 서로의 벗이 되어 멋진 하모니를 이룬다. 이 책은 우리가 더 나은 모습으로 나이 들기 위하여 인생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삶의 지침을 준다.
목차
들어가며; 뒤통수에 부는 서늘한 바람을 깨닫는 시간
1부 길 위에서는 헤어질 이유가 없다
1. 반항하라, 포기하지 말고 견뎌라!(북한산 ‘의상능선’)
알베르 카뮈, 《시시포스 신화》
2. 두려워하지 않는다, 나는 자유다(봉화 ‘세평하늘길’)
니코스 카잔차키스, 《그리스인 조르바》
3. 걷기, 자기 자신에게로 향하는 여정(홍천 ‘용소계곡 숲길’)
베르나르 올리비에, 《나는 걷는다》
4. 나는 불행할 자유를 원합니다!(치악산 ‘황골지구 탐방길’)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5. 목적 없는 시간을 즐기는 방법(대암산 ‘용늪’)
말로 모건, 《무탄트 메시지》
6. 순간순간 깨어 있으라!(순천 ‘천년불심길’)
법정 스님, 《산에는 꽃이 피네》 104
2부 깨우침은 늘 한 걸음씩 늦었다
7. 나잇값에 대하여(영남알프스 ‘하늘억새길’)
김혜남, 《어른으로 산다는 것》
8. 누구나 한 번은 길을 잃고, 한 번은 길을 만든다(해남 ‘달마고도’)
셰릴 스트라이드, 《와일드》
9. 산다는 것은 때로 눈물 나게 안타깝지만, 원래 그런 것(두타산 ‘베틀바위 산성길’)
김훈, 《밥벌이의 지겨움》
10. 상선약수, 물이 최고의 선이다(내연산 ‘12폭포’)
신영복, 《담론》
11. 그래도 인생은 살아볼 만하다(설악 대청에서 천불동까지)
하임 샤피라, 《행복이란 무엇인가》
12. 자신이 원하는 게 무언지 언제나 알고 있어야 해(오대산 '소금강’)
파울로 코엘료, 《연금술사》
3부 누구나 보로메 섬 하나씩은 간직하고 있다
13. 또 하나의 세상을 보다(다산 따라 ‘인연의 길’)
스탠 톨러, 《행운의 절반, 친구》
14. 사랑, 그 역설에 대하여(연인산 ‘소망능선길’)
볼프강 라트, 《사랑, 그 딜레마의 역사》
15. 삶은 익숙한 것과 결별하는 순간 진보한다(죽파리 ‘자작나무 숲길’)
신준환, 《나무의 일생, 사람의 마음》
16. 외로움은 심장을 갉아먹는 벌레(소양강 ‘하늘길, 내린길’)
토마스 조이너, 《남자, 외롭다》
17. 그 모습을 사랑하지 않으면 안 된다(통영 ‘사량도’)
장 그르니에, 《섬》
18. 삶이란 그 무엇엔가, 그 누군가에게 정성을 쏟는 일이다(아침가리계곡 ‘얼음 트레킹’)
전우익, 《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
1부 길 위에서는 헤어질 이유가 없다
1. 반항하라, 포기하지 말고 견뎌라!(북한산 ‘의상능선’)
알베르 카뮈, 《시시포스 신화》
2. 두려워하지 않는다, 나는 자유다(봉화 ‘세평하늘길’)
니코스 카잔차키스, 《그리스인 조르바》
3. 걷기, 자기 자신에게로 향하는 여정(홍천 ‘용소계곡 숲길’)
베르나르 올리비에, 《나는 걷는다》
4. 나는 불행할 자유를 원합니다!(치악산 ‘황골지구 탐방길’)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5. 목적 없는 시간을 즐기는 방법(대암산 ‘용늪’)
말로 모건, 《무탄트 메시지》
6. 순간순간 깨어 있으라!(순천 ‘천년불심길’)
법정 스님, 《산에는 꽃이 피네》 104
2부 깨우침은 늘 한 걸음씩 늦었다
7. 나잇값에 대하여(영남알프스 ‘하늘억새길’)
김혜남, 《어른으로 산다는 것》
8. 누구나 한 번은 길을 잃고, 한 번은 길을 만든다(해남 ‘달마고도’)
셰릴 스트라이드, 《와일드》
9. 산다는 것은 때로 눈물 나게 안타깝지만, 원래 그런 것(두타산 ‘베틀바위 산성길’)
김훈, 《밥벌이의 지겨움》
10. 상선약수, 물이 최고의 선이다(내연산 ‘12폭포’)
신영복, 《담론》
11. 그래도 인생은 살아볼 만하다(설악 대청에서 천불동까지)
하임 샤피라, 《행복이란 무엇인가》
12. 자신이 원하는 게 무언지 언제나 알고 있어야 해(오대산 '소금강’)
파울로 코엘료, 《연금술사》
3부 누구나 보로메 섬 하나씩은 간직하고 있다
13. 또 하나의 세상을 보다(다산 따라 ‘인연의 길’)
스탠 톨러, 《행운의 절반, 친구》
14. 사랑, 그 역설에 대하여(연인산 ‘소망능선길’)
볼프강 라트, 《사랑, 그 딜레마의 역사》
15. 삶은 익숙한 것과 결별하는 순간 진보한다(죽파리 ‘자작나무 숲길’)
신준환, 《나무의 일생, 사람의 마음》
16. 외로움은 심장을 갉아먹는 벌레(소양강 ‘하늘길, 내린길’)
토마스 조이너, 《남자, 외롭다》
17. 그 모습을 사랑하지 않으면 안 된다(통영 ‘사량도’)
장 그르니에, 《섬》
18. 삶이란 그 무엇엔가, 그 누군가에게 정성을 쏟는 일이다(아침가리계곡 ‘얼음 트레킹’)
전우익, 《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
상세 이미지

출처 :예스 24
저자 박대영
- 지름길을 두고 돌아서 걸었다
- 13,500원 (10% 할인)
반응형
'정보를 알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거 모르면 범칙금 7만원 냅니다. (0) | 2023.05.07 |
---|---|
쌀 포대 쉽게 개봉하기. (0) | 2023.04.12 |
chat gpt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나요.. (0) | 2023.04.03 |
구글을 이용한 핸드폰 위치 쉽게 찾기 (0) | 2023.04.01 |
구글 비번 찾기 (0) | 2023.03.30 |